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

복리후생의 정의, 중요성 및 성격, 기능 복리후생의 정의 복리후생(employee benefits and services)이란 종업원의 노동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간접적 보상으로 기업이 종업원의 생활의 안정과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업원과 그 가족에게 제공하는 직접적 보상인 임금 이외의 모든 보상과 서비스를 말한다(Ivancevich, 1998 : 376). 여기서 종업원 급부(benefits)는 건강 및 사고관련 시 종업원 보호와 장래의 상황, 예컨대, 퇴직, 고용종료, 혹은 어떤 객관적 기준의 달성시 종업원에게 소득을 제공해 주는 퇴직소득, 실업(고용)보험, 의료보호(보험) 등의 기타 보상요소들을 말한다. 종업원 서비스(services)는 어떤 종류의 종업원 수요를 충족시켜줌으로써 종업원 복지에 기여하는 이를테면 유급휴가, 무급휴가, .. 2023. 6. 18.
스톡옵션제 정의, 특징, 유형, 효과 스톡옵션제의 정의 스톡옵션제(stock option plans)는 원래 최고경영자를 위한 개별 인센티브 보상제도로 실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종업원도 그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스톡옵션제란 회사가 경영자 및 종업원들에게 장래의 일정한 기간 내에(권리행사기간) 사전에 약정된 가격(권리행사가격)으로 일정 수량의 자사주를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스톡옵션제는 주식에 근거한 보상(stock-based compensation) 제도로 조직구성원이 열심히 노력해서 조직의 성과증대에 성공한다면 주가도 동반 상승할 것이라는데 그 가정을 두고 있다. 따라서 임직원은 장래의 일점시점에서 주가가 행사가격을 상회할 경우 옵션을 행사하여 회사로부터 주식을 매입하고 취득한 주식을 시장에 추후 매각함으로써 이득.. 2023. 6. 17.
기술급 정의, 유형, 특징, 장점과 단점 연봉제나 성과배분제도와 같은 성과·능력지향적인 임금제도 이외에도 오늘날 기술의 급격한 변화, 세계화와 기업 간 경쟁의 격화 등 기업환경의 변화에 따라 21세기의 수요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혁신적인 임금제도가 부상되고 있다. 기술급의 정의 기술급(skill-based pay)은 좁은 의미로는 숙련급, 기능급 등으로도 불리는데, 환경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는 직무급의 대안으로, 종업원이 수행하고 있는 기술이 아니라 보유하고 있는 기술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임금이 결정되는 제도이다. 즉, 종업원이 현재 담당하고 있는 직무가 종업원이 보유한 기술을 요구하지 않더라도, 검정된 모든 기술에 대해서 개인에게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기술급은 종업원들로 하여금 조직에 대한 그들의 가치와 성과를 증대시킬 다양.. 2023. 6. 16.
성과배분제도의 정의와 특징, 유형 성과배분제도의 정의와 특징 성과배분제도는 기업의 노사 공존공영을 목표로 창출된 경영성과를 노사 간에 적절히 배분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근로자가 기업단위 혹은 공장·부서·과 단위가 설정한 목표 매출액이나 이윤, 생산비용 절감, 생산성 등의 경영성과 증진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일정한 공식에 따라 경영성과의 일정 부분의 배분에 참가하는 제도로, 성과의 배분 몫은 통상적인 임금 외에 사후적으로 현금, 주식, 기타 복지기금 등의 형태로 지급되는 변동적 보상제도를 말한다. 이때 기업이 기대한 경영성과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을 경우, 기대성과와 실질성과와의 차액을 원천으로 하여 근로자 측에 배분되는 임금을 성과배분임금이라 한다. 성과배분임금은 임금이 근로자의 노동성과의 증감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임금형태.. 2023. 6.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