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

복리후생 프로그램의 설계 복리후생의 설계는 효율적인 복리후생 관리의 전제로서 다음의 네 가지 사항, 즉 복리후생 프로그램의 형태와 범위의 결정, 복리후생비용의 분담결정, 복리후생 수혜 대상자의 선정, 복리후생의 유연성 정도 결정 등에 대한 경영자의 전략적인 선택을 의미한다(Anthony et al., 2006 : 465~468 ; Milkovich & Newman, 2008 : 409~414). 1. 복리후생 프로그램의 형태와 범위의 결정 경영자들은 어떤 종류의 복리후생을 어느 정도의 보상범위로 제공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한다. 즉, 경영자는 법적으로 제공할 의무가 있는 법정 복리후생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어떠한 욕구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복리후생 프로그램을 설계할 것인가, 혹은 종업원들이 중요시하는 한정된 프로그램을 어느 정도로.. 2023. 6. 22.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의 정의, 효과, 유형 선택적 복리후생제도의 정의 경영자가 선택해야 할 복리후생제도의 설계내용 중의 하나가 제도의 유연성 이슈이다. 지금까지 전통적인 복리후생제도인 표준적 복리후생제도(standard benefits package plans)는 평균적인 종업원들을 상정해서 복리후생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종업원 각자의 욕구나 선호와는 관계없이 모든 종업원들에게 표준화된 고정적인 복리후생을 일률적으로 제공해 왔다. 이 제도하에서는 종업원들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선택권이 없으므로 인해 종업원들의 복리후생에 대한 만족여부와 증대하는 복리후생비용의 효율성에 대하여 의문이 계속 제기되어 왔다. 한편, 근년에 노동력의 구성이 점차 다양화되고 종업원의 의식 수준도 향상됨에 따라 종업원들의 복리후생에 관한 욕구가 다양화되고 또한 치열한 경쟁시장.. 2023. 6. 21.
법정 외 복리후생의 정의, 유형 법정 외 복리후생의 정의 법정 외 복리후생은 국가의 법률에 의하지 않고 기업이 자발적으로 실시하는 복리후생으로 자발적 복리후생(voluntary benefits)이라고도 한다. 법정 외 복리후생은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기업이 법정 복리후생에서 법률로 규정된 범위나 수준을 넘어 추가적으로 혜택을 주는 방식이다. 이를테면, 의료보험의 경우 보험에 해당되지 않는 특수항목 예컨대, 고급약재사용이나 특수검사실시 등에 대해서도 기업이 의료비를 추가로 지원한다거나, 의료보험료에 있어 기업은 법적으로 50%를 지원하게 되어 있지만 그 이상으로 지원할 경우에 그 추가 부분은 법정 외 복리후생이 된다. 또한 국민연금 외에도 개인연금을 기업이 별도로 지원한다든가,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퇴직금지급 최저한도 이상으.. 2023. 6. 20.
법정 복리후생 법정 복리후생의 정의 기업의 복리후생은 일반적으로 법적 강제성 여부에 따라 법정 복리후생과 법정 외 복리후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법정 복리후생은 국가의 사회보장정책의 일환으로 국가가 기업에 법률로써의 실시를 강제함으로써 의무화된 복리후생을 말한다. 법정 복리후생의 범위와 내용은 국가의 사회보장정책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종업원들의 안전 및 안정의 욕구 충족에 초점을 두고 종업원들이 직장이나 일상생활에서 당면하는 여러 가지 위험들로부터 이들을 보호함으로써 최소한의 사회·문화적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회보험제도로 의료보험, 산업재해보상보험, 연금보험, 고용보험 등이 실시되고 있으며 또한 퇴직금제도와 유급휴일·휴가제도도 법정 복리후생제도로 시행되고 있.. 2023. 6.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