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적자원관리

스톡옵션제 정의, 특징, 유형, 효과

by 인적 자원 관리 2023. 6. 17.
반응형

스톡옵션제의 정의

스톡옵션제(stock option plans)는 원래 최고경영자를 위한 개별 인센티브 보상제도로 실시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종업원도 그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스톡옵션제란 회사가 경영자 및 종업원들에게 장래의 일정한 기간 내에(권리행사기간) 사전에 약정된 가격(권리행사가격)으로 일정 수량의 자사주를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스톡옵션제는 주식에 근거한 보상(stock-based compensation) 제도로 조직구성원이 열심히 노력해서 조직의 성과증대에 성공한다면 주가도 동반 상승할 것이라는데 그 가정을 두고 있다. 따라서 임직원은 장래의 일점시점에서 주가가 행사가격을 상회할 경우 옵션을 행사하여 회사로부터 주식을 매입하고 취득한 주식을 시장에 추후 매각함으로써 이득을 획득하게 된다(김영재, 1999).

이 제도는 거시적으로는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변화에 기업이 효과적으로 적응해서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통한 기업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① 창의적이고 우수한 인재의 확보와 유지(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② 업적과 임직원의 보상을 연동시킴으로써 주주와 임직원의 이해를 일치시키고, 나아가 ③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직구성원의 동기부여에 그 목적이 있다.

 

스톡옵션제의 특징

스톡옵션제의 특징은 첫째, 주가가 기업의 수익성과 성장성에 의해 영향을 받고 경영자가 이들 요인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범위까지는 스톡옵션이 인센티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옵션을 부여받은 조직구성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에 의해 경영성과의 증대, 즉 기업가치의 증가가 시장의 주식가격에 반영되면 그들이 매입한 주식의 가격상승으로 자본이득을 얻게 되어 근로의욕은 더욱 자극을 받게 된다. 둘째, 스톡옵션제에서 보상의 구체적 실현은 권한 확정기간(vesting period)을 포함한 장기간이 경과한 후 주식을 매각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스톡옵션제는 주식 혹은 주가에 근거한 주식 연동형 장기 인센티브제도이다.

미국의 경우 이러한 스톡옵션제는 원래 최고경영자의 재무적 성공을 주주의 재무적 성공과 연계시키는 이윤분배의 한 형태로 실시되어 왔으나, 근년에는 펩시콜라, 휴랫패커드, 스타벅스 등과 같이 대다수의 종업원들에게도 스톡옵션을 부여하고 있는 회사들도 많이 있다. 이를테면 Fortune지에 게재되는 대기업의 약 90% 정도가 스톡옵션을 비롯한 다양한 장기 인센티브 임금제도를 실시해왔고, 94년과 97년 사이 종업원을 대상으로 한 스톡옵션제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체 수는 3배 이상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Ellen, 98 : 45) 미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장기 인센티브제도로 각광을 받아왔다. 

 

스톡옵션제의 유형

첫째로, 인센티브 스톡옵션(incentive stock options : ISO)이란 일정한 요건하에 세제상의 우대조치가 인정되는 스톡옵션으로, 회사가 임직원들에게 미래의 일정기간 내에 약정된 가격으로 일정수의 자사주를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이며, 가장 일반적인 스톡옵션의 유형이다. 

둘째로, 비적격 스톡옵션(non-qualified stock options : NQSP)이란 세제상의 우대조치를 받을 수 없는 스톡옵션으로 제도의 설계에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로, 주식평가 보상권(stock appreciation rights : SARs)은 주식평가(익)권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며 임직원에게 일정기간에 있어서 자사주의 시장가격 상승액을 보상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는 제도이다. 

이 외에도 성과주식/단위제도(performance shares/unit plans), 제한부 주식제도(restricted stock plans), 가상주식제도(phantom stock plans) 등이 있다.

 

스톡옵션제의 효과

스톡옵션제는 임직원을 동기부여시키고, 경영자로 하여금 장기적이고, 주주가치를 제고시키는 경영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나아가 경영성과의 증대와 주가상승을 가져온다. 미국에서의 실증연구에 의하면 이론(異論)이 없지 않지만, 보다 높은 비율의 최고 및 중간 경영자들이 스톡옵션과 같은 장기적인 인센티브제도를 적용받을 때 조직의 성과는 더 높아지고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우리나라는 1996년 12월에 증권거래법을 개정하여 스톡옵션제를 법제화함으로써 도입되었는데,  초창기의 스톡옵션제는 우수한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벤처기업에서 우수인재 유치와 기술혁신을 위한 유인책으로 시행되었다. 최근에는 중소형 성장사들이 임직원에게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궁극적으로 스톡옵션제의 도입이나 지속 여부는 해당 기업이 처한 상황과 추구하는 보상 철학에 입각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타기업의 동향을 유행처럼 추종해서는 안 될 것이다. 스톡옵션제는 미래의 주가와 연동한 장기적 관점의 성과급제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주가치를 중시하고 장기적 관점의 경영을 촉진한다는 보상 철학을 갖춰야 한다. 스톡옵션제는 문제점이나 부작용이 있지만 적절히 운용될 경우 주주 가치 중심의 성과주의 경영을 정착시키는 면에서 유용한 보상수단이 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