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 임금관리의 중요성 임금관리는 보상관리의 기본적인 과제로 화폐적 보상인 임금은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사용자와 근로자 모두에게 중대한 이슈가 되고 오늘날 인적자원관리뿐만 아니라 조직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전략분야가 되고 있다. 임금관리의 중요성은 기업에 노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의 입장과 노동 서비스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기업의 입장, 최근 부가되어 온 임금의 동기부여적인 기능으로 나눌 수 있다. 근로자 입장에서의 중요성 첫째, 임금은 경제적·물질적 면에서 근로자의 생계를 위한 수입의 원천으로 인간의 의식주에 대한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다. 즉, 임금은 경제적·물질적 생활의 원천이 되는 소득으로 근로자 자신 및 부양가족의 생계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둘째, 임금은 근로자의 경제.. 2023. 6. 6. 임금관리의 내용과 목적 임금관리의 내용 임금관리(wage & salary management)는 인적자원관리의 하위 시스템으로 임금을 조직의 목적달성에 기여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임금관리는 노사간 이해대립적인 임금의 양면성을 극복해서 조직의 목표와 근로자의 욕구, 즉 개인의 목표를 균형적으로 달성함으로써 노사 공존공영을 이룩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임금관리의 내용으로는 임금수준 관리, 임금체계 관리, 임금형태 관리를 둘 수 있다. 임금수준 관리는 종업원들에게 제공되는 임금액의 크기와 관련된 것으로, 임금수준이 기업의 입장과 종업원의 입장, 기타 노동시장요인 등을 고려해서 기업과 종업원 모두에게 적정하다고 생각되는 수준이 되도록 결정하는 데 중점을 둔다. 기업은 적절한 임금수준 관리를.. 2023. 6. 5. 보상과 임금의 의의 보상의 의의와 유형 조직은 조직의 목표달성에 기여한 조직구성원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제공하여야 한다. 사실 종업원들이 조직을 선택하거나 조직생활을 하면서 실제로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이는 이슈는 보상, 특히 금전적 보상과 종업원의 사회적 신분의 위치라 할 수 있는 승진이다. 따라서 좁게는 보상관리로서의 임금관리와 신분관리로서의 승진관리는 현대 인적자원관리의 양대 지주라 할 만큼 중요한 요체가 되고 있다. 보상(compensation)이란 종업원이 조직에 제공한 노동 서비스에 대한 모든 형태의 대가로서 크게 금전적 보상과 비금전적 보상으로 구분된다. 금전적 보상(financial compensation) 혹은 경제적 보상은 노동의 대가를 금전적으로 보상해 주는 것으로 직접적 보상과 간접적 보상으로 구성된다. .. 2023. 6. 4. 승진관리 승진관리의 기본방향 승진은 조직에서 구성원의 직무서열의 상승을 뜻하며, 승격은 자격서열의 상승을 의미한다. 승진에서는 지위의 상승과 함께 보수·권한·책임의 상승이 수반된다. 조직구성원의 입장에서 승진은 자아발전의 욕구를 충족시키게 되며 조직의 입장에서는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의 근간이 된다. 이와 같이 조직과 구성원의 입장에서 다 같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승진은 명확한 방침 아래 객관적이고 공정한 제도의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승진관리에서 고려해야 할 기본적 과제는 연공주의와 능력주의의 조화에 관한 문제이다. 연공주의는 근무경력, 즉 시간의 차이에 의해 승진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개념으로 근무기간에 비례해서 개인의 업무능력과 숙련도가 신장된다는 사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연공주의는 측정의 .. 2023. 6. 3.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