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

성과배분제도의 정의, 특징, 유형 등 성과배분제도의 정의와 특징 성과배분제도는 기업의 노사 공존공영을 목표로 창출된 경영성과를 노사 간에 적절히 배분하는 제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근로자가 기업단위 혹은 공장·부서·과 단위가 설정한 목표 매출액이나 이윤, 생산비용 절감, 생산성 등의 경영성과 증진에 기여하고 그 대가로 일정한 공식에 따라 경영성과의 일정 부분의 배분에 참가하는 제도로, 성과의 배분 몫은 통상적인 임금 외에 사후적으로 현금, 주식, 기타 복지기금 등의 형태로 지급되는 변동적 보상제도를 말한다. 이때 기업이 기대한 경영성과 이상의 성과를 거두었을 경우, 기대성과와 실질성과와의 차액을 원천으로 하여 근로자 측에 배분되는 임금을 성과배분임금이라 한다. 성과배분임금은 임금이 근로자의 노동성과와 연결되어 노동능률을 자극하는, 즉 특.. 2023. 6. 14.
연봉제의 정의, 특징, 유형 연봉제의 정의 우리나라 기업에서 연봉제는 1997년 12월 IMF체제 이후 기업의 생존을 위한 구조조정과 함께 능력주의적 보상체계의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기업 경영혁신의 가장 큰 이슈가 되어왔다. 연봉제는 일급제, 주급제, 월급제와 같은 임금형태의 하나로서 개별 종업원의 임금을 직무수행능력이나 업적 및 공헌도 등을 평가한 결과에 따라 1년 단위로 결정하여 차등지급하는 임금제도를 말한다. 즉, 임금을 종업원의 능력이나 업적과 연계시켜 연간 임금총액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실제 지급은 연봉을 12등분하여 매월 균등지급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16분의 1을 매월 지급하고 나머지 16분의 4를 상여금으로 연 2회 또는 연 4회 지급하는 등 기업의 사정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지급된다. 우리나라에서 연봉제의 도입이.. 2023. 6. 13.
임금체계 개편 이슈 임금체계 개편 이슈 배경 우리나라에서 임금체계 개편에 관한 필요성은 1990년대 중반부터 논의되어 왔다. 아직도 우리나라 기업에서 보편적인 임금체계인 연봉(호봉) 중심의 임금체계는 연공서열적 동양적 가치와 부합되고 종업원의 귀속의식 및 충성성 제고, 조직의 안정성 유지면에서는 효과적 임금체계로 기능을 발휘해 왔다. 그러나 근년에 인구고령화, 근로자들의 가치관의 변화 등과 같은 사회문화적 환경변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글로벌 경쟁의 격화, 저성장시대로의 진입 등과 같은 경제적 환경 하에서 연공급 임금체계는 임금이 근로자들의 근속연수에 따라 상승하고 근로자가 맡고 있는 직무의 가치나, 직무수행 능력, 성과 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유능한 근로자들의 사기저하와 기업의 인건비 부담이 과중.. 2023. 6. 12.
임금형태 관리의 정의, 유형 임금형태 관리의 정의 임금형태(method of wage payment)는 종업원에 대한 임금의 계산 및 지불방법을 의미하는데, 임금을 지불할 때 무엇을 단위기준으로 산정하는가를 나타내 주는 개념이다. 임금의 산정기준으로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 시간과 성과이다. 시간을 단위기준으로 임금을 산정하는 것을 시간급이라 하고, 성과를 단위기준으로 임금을 산정하는 것을 성과급이라 한다. 이러한 임금형태의 관리는 임금수준 관리, 임금체계관리와 함께 임금관리의 중요한 내용이 되고 있다. 임금형태는 19세기 말 미국에서 비롯된 능률증진운동의 일환으로서 특히 테일러(F.W. Taylor)가 제창한 과학적 관리법을 계기로 기업의 특성 및 경영전략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크게 발전되어 왔다. 그런데 임금형태는 특히 .. 2023. 6.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