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9

직무급의 의의와 특징, 유형, 장단점 직무급의 의의 직무급(job-based pay)은 조직 내 존재하는 직무들을 평가하여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기준으로 임금을 결정하는 임금체계이다. 즉,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책임도, 작업조건 등을 기준으로 각 직무의 상대적 가치를 평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임금을 결정한다. 이처럼 직무급은 직무의 가치에 부합하는 임금을 지급하여 각 직무 간에 공정한 임금격차를 유지하는 것이 임금배분의 공정성을 실현한다는 논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대체로 연공급과 대비해서 사용되는 수가 많은데, 연공급이 연령, 근속연수, 학력 등 속인적 요소에 의해 임금이 결정되므로 속인급으로 불리는데 반해, 직무급은 근로자가 담당하는 직무를 객관적, 과학적으로 분석·평가하여 임금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직무중심형의 임금 혹은 속직급(屬職.. 2023. 6. 10.
연공급의 의의와 특징, 유형, 장단점 연공급의 의의 연공(seniority)은 종업원이 회사나 부서 또는 직무에 근무한 기간을 말한다. 연공급(seniority-based pay)은 연공서열형 임금 혹은 연공승급 임금이라고도 부리는데 임금을 종업원의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차별화해서 결정하는 제도이다. 처음에는 연령을 기준으로 한 연령급체계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엄격한 의미에서 연공급은 연공급수를 기준으로 근속연수가 많아짐에 따라 정기승급제도를 통해 기본급 또는 단위 임금률이 높아지는 임금체계이다. 따라서 연공급은 근속연수별 임금격차를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는 근속급 임금제도이다. 일반적으로 넓은 의미의 연공급은 우리나라나 일본처럼 입사시에는 연령, 학력, 성별, 경력 등의 속인적 요소를 감안하여 개인의 임금수준을 결정하고 입사 후에는 근.. 2023. 6. 9.
임금체계 관리 등 임금체계 관리의 정의 임금체계(wage structure)란 임금지급 항목의 구성내용 또는 개별 종업원의 임금을 결정하는 기준을 말한다. 즉, 형식면에서는 종업원들에게 지급되는 임금이 어떠한 항목들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내용성격면에서는 각 항목이 어떠한 기준에 의해 설정되어 개별임금의 격차가 공정하게 결정되는가를 나타내 주는 개념이다. 전자를 광의의 임금체계, 후자를 협의의 임금체계라고도 한다. 그러나 엄격한 의미에서 임금체계는 후자, 즉 임금격차(wage differential)의 구조를 말한다. 임금수준 관리가 기업의 전체적인 평균임금 결정과 관련된 총액 인건비 관리이고 대외적인 공정성을 확보하는 관리라고 한다면, 임금체계관리는 임금총액을 개별 종업원들에게 기업 내에서 어떠한 항목으로 어떠한 기준에 .. 2023. 6. 8.
임금수준 관리의 정의와 목적 임금수준 관리의 정의 우리나라 기업에서 발생하는 많은 노사분쟁들의 주된 이슈가 바로 임금수준과 직결된 임금인상 이슈이다. 임금수준(pay level)이란 임금액의 크기를 나타내는 말로 사용자에 의해 종업원에게 지급되는 평균임금률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상여금을 포함한 임금총액을 종업원 수로 나눈 1인당 평균임금액을 의미한다. 따라서 임금수준 관리란 평균임금률 내지는 평균임금액의 관리를 의미한다. 임금수준은 고찰하는 대상범위에 따라 임금격차의 균형관계를 파악하는 관점에서 국가전체의 임금수준, 산업별 임금수준, 업종별 임금수준, 기업별 임금수준, 학력별 임금수준 등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임금수준 관리의 목적 임금은 조직의 전략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기업의 임금수준은 조직의 제품시장.. 2023.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