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관리의 정의
안전관리란 근로자들을 업무수행 중의 사고로 인한 위험이나 상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산업재해의 원인을 규명하고 사고를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근로자의 생명과 신체의 보호는 물론, 기업의 경제적 손실을 보호하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제반활동을 말하는데, 조직은 인적자원의 유지와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안전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안전관리에 있어서는 발생한 재해에 대해서 적절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산업재해의 원인파악과 특히 산업재해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예방관리대책의 수립이 더욱 중요한 것임을 인식해야 한다.
산업재해의 정의와 원인
산업재해란 근로자가 업무수행 중에 사고로 인한 사망, 부상, 신체장애 등의 업무상 재해(사고재해)와 특수한 작업환경으로 인해 서서히 발생하는 업무상 질병(직업병)을 말한다.
우리나라의 산업안전보건법 제2조는 산업재해를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설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기타 업무에 기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제4조에서는 업무상의 사유에 의한 근로자의 부상·질병·신체장애 또는 사망을 업무상 재해로 규정하고 있어 업무상 질병을 업무상 재해에 포함시키고 있다. 국제노동기구(ILO)의 1982년 결의안도 업무상 재해(통상 산업재해)를 업무수행 중에 일어나는 사망, 질병 또는 부상을 야기시키는 재해로 정의하고 있다.
안전관리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서는 먼저 산업재해발생 및 안전사고의 원인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한다. 재해발생의 원인은 크게 불안전한 작업조건(물리적 및 환경적 조건)과 불안전한 작업행동으로 분류하기도 하고(Cascio, 1995 : 540), 부적절한 안전관리, 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Monday et al., 2002 : 391). 하지만, 이를 종합해서 일반적으로 인적 요인, 물적 요인, 환경적 요인, 관리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는 이들 요인 중의 하나와 몇 개의 요인이 중복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1) 인적 요인
인적 요인은 개인의 선천적·후천적 소질 및 부주의나 불안전한 행동에서 일어나는 요인이다. 첫째, 개인적 소질로써, 과격한 기질, 신경질, 시력 및 청력의 결함, 근골박약, 지식 및 기능의 부족, 중독증, 각종질환 등(김식현, 1999 : 405)이 있다. 둘째, 부주의나 불안전한 행동으로써, 지시 무시, 위험장소 접근, 안전장치의 점검소홀, 기계·공구나 복장 보호구의 잘못사용, 위험물 취급 부주의, 불안전한 자세와 동작(달림, 던짐 등), 불안정한 속도 조작(과속 및 저속 등) 등이 있다.
(2) 물적 요인
물적 요인은 개업 내의 각종 물적인 시설과 장치 등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요인이다. 예컨대, 건물 기계설비·장치·공구·비품 등의 결함이나 안전방호장치나 보호구의 결함, 생산 공정의 결함, 경계표시, 설비의 결함 등이 있다. 구미나 우리나라의 산업화 초기의 재해는 대부분이 이들 물적 요인에 의해 발생되었다.
(3) 환경적 요인
이것은 작업환경의 부적절에 따르는 각종의 물리적·화학적인 위험요인을 말한다. 물리적 요인으로는 작업장이나 작업대의 협소 및 정리불량, 기계류의 배치 부적절, 통로협소, 채광·조명·온도·환기 시설의 부적당, 불안전한 복장 등이 있다. 화학적 요인으로는 고열, 분진, 소음, 진동, 유독가스, 감전, 유해방사선 등이 있다.
(4) 관리적 요인
관리적 요인은 부적절한 안전관리로 인해 발생하는 요인으로 특히 인적 요인과 관련이 많다. 첫째, 안전교육의 불충분으로 안적수칙의 오해와 안전지식, 작업방법, 위험·유해한 작업 등에 대한 안전교육 불충분이다. 둘째, 작업관리의 불량으로 안전관리 조직의 미정비, 작업준비의 불충분, 안전수칙의 미흡, 작업계획의 무리, 인원배치나 작업지시의 부적절, 기타 일부 물적·환경적 요인 관리의 소홀 등이다. 셋째, 무자격자, 체력부적격자, 생리적·심리적 결격자 등 기타 결격자의 채용 및 배치 등이다.
산업재해의 예방대책
산업재해의 발생건수와 강도를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해서는 안전보건에 대한 공학적인 예방대책과 경영자들의 관리적 차원의 예방대책이 동시에 요구된다. 전자는 불안전한 물적·환경적인 위험 및 결함요인을 제거해서 작업환경을 개선하는 활동을 말한다. 예컨대, 기계·설비·공구 등의 품질이나 설계 및 이들의 배치, 공정절차 등을 분석·검토하고 결함을 개선해서 물리적 측면에서 안전도를 높이는 방법을 말한다. 후자, 즉 관리적 차원의 예방대책은 경영자가 근로자의 안전한 행동을 증대시키기 위한 활동을 말한다.
재해예방을 위해 경영층이 해야 할 첫 번째 과제는 안전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손실예방 프로그램, 즉 안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는 것이다. 안전 프로그램은 작업장의 안전을 증대시키는 심리적 환경과 근로자 태도를 조성하고 또한 넓게는 공학적 대책을 포함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개발하고 유지하는데 초점을 두고 설계되는데(Mondy et al., 2002 : 394~395), 안전의 개선을 위한 적절한 예산편성, 직무위험의 분석 및 안전 기록에 대한 철저한 분석 등도 포함된다. 특히 안전 프로그램이 효과적이 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층이 안전에 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표명하고 솔선수범을 보이는 것이 필수적이다.
'인적자원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직의 정의와 유형, 이직관리의 중요성 (0) | 2023.06.29 |
---|---|
보건관리의 정의, 유형, 대책 (0) | 2023.06.28 |
유연적 근로시간의 정의, 형태 (0) | 2023.06.26 |
근로시간 단축의 정의와 효과 (0) | 2023.06.25 |
근로시간의 정의, 근로시간관리의 중요성과 과제 (0) | 2023.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