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의 개념과 특징, 중요성

by 인적 자원 관리 2023. 5. 27.
반응형

인적자원의 개념

인적자원관리는 '인적자원(human resource)'이라는 단어와 '관리(management)'라는 단어의 합성어이다. 인적자원은 기업의 생산요소 가운데 하나로서 오늘날 생산은 물론, 기업의 생존과 유지, 혁신과 창조를 위해 그 의미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 요소이다. 인적자원관리(human resource management)는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유지하고 개발하는 등 관리활동을 전개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인적자원의 관리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근로자 양측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기업의 욕구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우수한 인재를 확보, 유지하는 욕구이다. 반면에 근로자의 욕구는 기업으로부터 충분한 수준의 보살핌과 처우, 특히 개발, 교육, 그리고 보상을 받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결국, 인적자원관리란 "전략적인 가치를 지닌 인적자원을 기업과 근로자의 욕구를 함께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확보, 유지, 개발, 보상하는 일련의 과업"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인적자원의 생산요소로서 특징

조직체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세 가지 구성요소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우리는 상식적으로 알고 있다. 그것은 다름 아닌, 사람(man), 돈(money), 물자(material)이고 이것을 경영의 3요소, 3M이라고 부른다.

첫 번째 요소인 사람(man)은 인적자원(human resource)을 일컫는 것으로서 기업은 사람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회 시스템(social system)으로 종업원 또는 직원, 관리자, 최고경영자와 같은 인적자원의 상호작용과 조정에 의해 굴러가는 조직체라고 볼 수 있다.

두 번째 요소인 돈(money)은 재무적 자원(financial resource)으로서 기업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자원을 말하는데 예컨대, 자산, 자본금, 운영자금 등이 이에 속한다. 

세 번째 요소인 물자(material)는 물적 자원으로써 예컨대, 공장, 기계, 장비, 원료, 시설물 같은 것을 말하는데 주로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경영자원이다. 

그러면 경영의 3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한 자원은 무엇인가? 그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인적자원이다. 사람들은 인적자원을 흔히 '숨은 가치(hidden value)'로 부른다. 그 이유는 인적자원은 회사의 경제적 공시정보인 재무제표에는 표시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금융기관에서는 특정기업의 재무상태나 지급능력을 평가할 때 숨어 있는 인적자원의 가치를 반드시 평가한다. 왜 그럴까? 그것은 인적자원이 지니는 특수한 속성 때문이다. 인적자원은 중요한 생산요소 가운데 하나인 노동을 공급하는 주체이면서 다른 생산요소와는 달리 다음과 같은 차별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성과의 수행자(일을 하는 주체), 비용 요소(임금 등 인건비가 발생함), 인격을 갖춘 개인(개인적인 목표와 욕구를 가짐), 의사결정자(인적자원관리와 관련된 결정을 스스로 내림), 기업 외부와의 인터페이스(가정, 사회단체 등 타 집단과의 관계를 맺음) 등이 그것이다.

인적자원이 지니는 이러한 독특한 속성으로 인하여 생산요소 가운데 매우 다양한 성격을 지니고 있어 기업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매우 민감한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흔히 '기업은 사람이다'라고 말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인적자원의 중요성

인적자원의 속성은 무한한 부가가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돈이나 물자도 어느 정도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주식을 싼 값에 사서 비싼 값에 팔면 투자수익이라는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기계나 장비를 사용하여 생산활동을 하면 기업은 생산성이나 수익성이라는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가가치는 인적자원의 가치에 의존하고 있다. 즉, 사람의 노동에 의하지 않으면 기계나 장비, 돈, 물자의 부가가치를 달성할 수가 없으며, 사람의 능력과 자질에 따라 노동의 양과 질이 엄청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일찍이 사람들은 인적자원의 가치와 중요성에 주목하고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데 힘을 써왔다. 그 결과 국가나 조직이 경쟁력을 가지게 되었으며 인적자원의 무한한 부가가치에 주목하게 되었다. 인적자원을 기업의 경쟁력을 구성하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보는 시각은 '자원기반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원기반 이론(resource based view)은 기업이 어떤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활용하는 가에 따라 기업의 능력과 경쟁력에 차이를 보이며 이에 따라 성공여부도 달라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자원기반 이론은 인적자원의 가치를 강조하는 입장으로서 특정한 인적자원의 활용이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인적자원의 특성에 따른 전략적 활용이 경쟁력을 창출한다는 이론이다. 

세계가 산업사회로부터 지식정보사회로 이행하면서 인적자원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도 이에 상응하여 증대되고 있다. 인적자원관리가 중요하게 된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있다.

첫째, 기술의 진보로 인해 새로운 기술에 적응할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게 되고 기존의 인력에 대해서는 인력개발을, 새로운 인력에 대한 유치가 필요하게 되면서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인적자원관리가 중요해졌다.

둘째, 지식정보사회의 속성상 기업이 경쟁력에서 인적자원의 창의력과 능력에 의존하는 비중이 늘게 되면서 인적자원의 확보와 개발을 담당하는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셋째, 근로자의 능력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업무수행이 가능한 상황이 빈발하면서 근로자의 업무 모티베이션을 향상하기 위한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넷째, 산업민주화의 진전과 더불어 형평과 복지를 지향하는 사회분위기로 인해 노동관련 법률이 정확히 해석하고 적용해야 하는 일이 빈번해지면서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다섯째, 인건비의 지속적인 상승으로 인하여 인력의 채용과 배치에 있어서 경제성과 합리성이 강조되면서 합리적인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반응형